4대 보험 경력증명서 인터넷 발급(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등) :: 내 맘대로 책방

안녕하세요? 요즘에는 평생 직장 개념이 없어지고 각자의 능력을 충분히 보상 받기 위해서 이직을 선택하게 되는데요, 이직을 할 때는 자신이 과거에 어떠한 직장을 얼마나 다녔는지 증명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예전에는 자신이 다녔던 직장에 직접 찾아가 솔직한 심정으로 껄끄러운 면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력증명서를 발급해 달라고 아쉬운 소리를 해야 했으나 지금은 온라인에서 손쉽게 경력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어떠한 사업체에서 근로자로 일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4대 보험, 즉 1) 국민연금, 2) 건강보험,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 이 기간이 일을 시작한 날짜와 동일하기 때문에 4대 보험에 가입한 내역을 출력해 경력증명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그 중에서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통해 경력증명서를 발급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사이트에 접속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나옵니다.

 

 

 

 

 

 

2.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사이트 로그인 후 '개인' 칸에서 왼쪽에서 두 번째 '고·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클릭합니다.

 

 

 

 

 

 

3. 필요에 따라 조회 구분 선택

 

보험구분에 '산재'와 '고용', 조회구분에 '상용'과 '일용'이 있는데, 산재나 고용 중에서는 어떠한 것을 선택하든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습니다. 상용과 일용은 풀타임 직장 또는 파트타임 직장을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한 번 구분을 설정해 보시고 조회를 눌러 보시면 아래쪽으로 각자의 개인정보와 자격 이력 내역이 쭉 나옵니다. 취직한 곳에서 어떤 구분의 서류를 출력해 오라고 하는지 그리고 자신이 어떠한 경력을 내새우고 싶은지에 따라 정하시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이력내역서 발급을 개별사업장에 대해서만 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한 사업장이나 전체 사업장에 대해서 할 것인지를 고를 수 있는 옵션이 나옵니다. 이 부분 역시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다니게 될 사업장에 제출해 주시면 될 것입니다.

 

 

 

 

 

 

 

4. 다른 4대 보험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서두에서 미리 말씀 드렸다시피 경력증명서는 꼭 고용·산재보험 사이트를 이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에 다른 4대 보험을 통해 경력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는 루트를 간략하게 정리해 놓았으니 필요하시다면 참고해 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 국민연금

1) 포털사이트에서 '국민연금공단' 검색

2) 공동인증서 로그인

3) 상단 '전자민원' 탭 클릭

4) 내려오는 목록에서 '개인민원' 탭 클릭

5) 페이지 아랫쪽에서 '증명서 등 발급' 아래 '가입증명서(국/영문)' 클릭

 

- 건강보험

1) 포털사이트에서 '국민건강보험' 검색

2) 공동인증서 로그인

3) 첫 화면 바로 아랫 부분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 클릭

 

 

+ Recent posts